포트폴리오로 심사관 혹은 면접관에게 나를 각인시키기
오랜만에 취업/이직 관련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최근 카페에 많이들 물어보시는 "QA / 테스터 이직 시 포트폴리오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요?"라는 질문에 대한 답? 예시?를 설명드리려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우선 기존에 작성된 포트폴리오 "1탄 : 보여주기를" 참고해 주세요. 1탄에서는 왜 포트폴리오가 필요한지? 기업에서는 왜 포트폴리오를 원하는지? 어떤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한 예시를 다양하게 작성해 두었습니다.
이번 2탄에서는 나를 각인시키는 목적으로 프로젝트 관점의 포트폴리오에 대한 설명과 예시를 보여 드리려 합니다. 취업/이직 시 잘 준비하셔서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포트폴리오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보자.
ChatGPT에게 물어봤습니다.
[질문] 포트폴리오가 무엇입니까?
포트폴리오(portfolio)는 개인이나 조직이 보유한 자산, 경험, 업적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서나 콘텐츠 모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자산과 경험들은 주로 일자리 구직,
대학 진학, 취업 면접 등에서 사용됩니다.
포트폴리오는 대개 이력서와 함께 제출되며, 이력서에서 제공하는 정보 이상으로 세부적인 내용과
함께 실제 업무에서 수행했던 프로젝트나 작업물, 경험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포트폴리오는 자신이 보유한 역량과 능력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합니다.
포트폴리오는 주로 디자이너, 작가, 예술가, 개발자 등 창작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는, 자신이 원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구성과 디자인, 내용의 품질, 그리고 타겟 시장에 맞는
적절한 분량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자신이 보유한 역량과 능력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는 점입니다. GTP도 잘 알고 있네요? 또한, 마지막에 자신이 원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 1탄에서는 정말 기초적인 실무의 대한 포트폴리오였다면, 이제는 프로젝트 관점에서 QA가 어떤 포트폴리오를 보여주었을 때 서류 심사관이나 면접관이 "이 친구 면접 한 번 보자"라는 생각을 하게 될지... 제가 면접관일 때 어떤 포트폴리오를 보게 되었을 때 면접을 보고자 하는지 알려 드리려 합니다.
경력 기술서를 참조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만들자.
대부분의 회사는 입사 지원. 서류 지원 시 경력 기술서를 기본적으로 작성하게 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보통 경력 기술서를 아래와 같이 작성하곤 합니다.
🤮 매우 안 좋은 경력 기술서 예시입니다.
😍 그리고 조금 보완된 경력 기술서 예시입니다.
면접관이나 서류 심사관은 JD(Job Description)을 기준으로 경력이 부합하는지의 척도를 바로 경력 기술서를 보고 판단을 하게 됩니다. JD에 "ITSM 인증 경험"이라는 조건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어떤 경력 기술서를 보고 궁금증이 더 생겼을 까요?
만약 그 궁금증이 두 번째 이미지에 관심이 갔는데 과연 저 문구 한 문장으로 나를 면접관에게 '각인시키기'가 가능할까요?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포트폴리오'입니다.
자세한 경력기술서 작성에 대한 블로그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바랍니다.
수행 프로젝트의 이력을 포트폴리오로 보여주자.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서류 심사관이나 면접관이 가장 중요하게 보는 부분이 바로 어떤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프로젝트에 어떤 부분을 기여했는지를 서류에서 확인이 가능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위와 같이 프로젝트를 나열만 하고, 내가 프로젝트에 어떤 부분을 얼마만큼 기여했고, 기여한 만큼 어떤 성과를 내었는지 상세히 작성하지 않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꼭!!! 경력 기술서에는 프로젝트를 나래비하되 내가 어떤 부분의 얼마만큼을 기여했고, 기여한 부분이 반영되어 어떤 성과를 내었는지 반드시 작성하길 바랍니다.
그렇다면 분명 이전에 경력기술서를 참조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라고 했으니 우리는 프로젝트에 기여한 부분과 얼마만큼 기여했고, 어떤 성과를 내었는지 보여줄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만들면 됩니다.
이것이 진짜 회사에서 원하는 포트폴리오다.
첫 예시 - 게임회사 입사의 경우
N사의 JD는 아래와 같습니다.
- N사에서 퍼블리싱하는 게임 서비스 품질 관리
. 프로젝트 품질 기준에 따른 QA
. 서비스 품질 위험 요소 도출 및 해소 활동
. QA 프로세스 개선
기본적으로 경력기술서에는 어떤 게임 프로젝트에 투입되어 기여한 부분이 어떤 부분이며, 게임 출시는 잘 되었는지? 혹은 출시 후 어떤 이슈가 있었는데 VOC를 모니터링 중 좀 더 빨리 캐치업 해서 개발팀이 대응할 수 있게 했다는 내용 등이 작성되면 매우 좋습니다.
[질문] 프로젝트 수행 시 작성한 테스트케이스만 포트폴리오로 제출하셨었죠?
테스트케이스를 왜 그렇게 설계하였는지? 혹은 무엇을 기준으로 테스트케이스를 이렇게 작성했는지 이유를 작성한 문서는 있었나요? 있었는지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테스트케이스의 포트폴리오는 작성 수준을 보고자 하는 것도 있겠지만 더 중요한 부분은 왜 이렇게 설계하였고 작성된 테스트케이스를 수행하였을 경우 얼마만큼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이런 내용을 좀 더 강력하게 어필할 수 있는 부분이 바로 "게임 플레이 이력"입니다. 이게 무슨 소용이 있을까?라는 의문이 드실 수 있는데 게임 회사의 기본 소양이 바로 "게임 매우 매우 매우 좋아합니다."입니다. 게임을 좋아하고, 얼마나 잘 플레이하는지 보여 줄 수 있는 포트폴리오가 매우 매우 유용합니다.
사실 이 포트폴리오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면접에 물어보는 방법밖에 없기 때문에 면접에 불릴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집니다. 진짜 게임을 했는지 안 했는지 확인을 해야 하기 때문이고, 보통은 지원한 회사의 게임 장르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제가 게임 회사 지원 시 50%는 서류를 합격한 이유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 참고로 게임회사 입사를 희망하였을 때 그동안 공부했던 인포그래픽을 이용해서 게임 기획서와 게임 분석서(지원 회사의 게임)를 작성해서 제출하기도 했습니다. 주의할 점은 QA 지원인데 분석서는 도움이 되었을지 모르지만 기획서는 공격을 당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아무런 도움이 안 되는 포트폴리오는 독약이 될 수 있다는 점도 명심하길 바랍니다.
두 번째 예시 - 서비스, 제품을 보유한 일반 회사의 QA
K사의 JD는 아래와 같습니다.
• 서비스 품질 및 개발 생산성 향상을 위한 QA Process 수립 및 개선
•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표 관리 및 유관부서와의 협업
• 서비스 완성도 향상을 위한 테스트 케이스 작성 및 수행
사실 위와 같은 JD는 매우 어려운 난이도의 JD라고 생각됩니다. 보통 제 경력(2023년 기준 15년 차) 정도 채용을 하기 위한 JD라고 보입니다.
저는 만약 위와 같은 JD를 보고 지원을 결심했다면 경력기술서는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작성하고, 첨부하는 포트폴리오는 아래와 같습니다.
QA Process 수립 및 개선의 키워드를 참조할 수 있는 프로젝트의 목록을 이쁘게 정리한 사이트를 첨부할 것 같습니다.
위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어떤 프로세스로 진행했는지와 진행하면서 느꼈던 점, 개선을 통해 좋아진 점을 어필할 것 같습니다. 또한, 크몽 서비스를 통해 의뢰 주시는 의뢰인 분들의 회사에 QA나 테스트 프로세스가 정립될 수 있도록 컨설팅하거나 Jira 프로세스 세팅에 경험이 있음을 강조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테스트 수행을 통해 얻어질 결과를 기반으로 품질률 측정을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 출시에 대한 기준을 정량화한 것을 보여줄 수 있도록 "QA 리포트 - 테스트 결과"를 첨부할 것 같습니다.
테스트 수행에 대한 결과를 통해 품질률을 어떻게 측정했으며, 어떤 리포트를 발행하였는지 보여주는 것이 제일 좋은 포트폴리오의 예시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품질률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경험하기도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희소가치 경험일 수 있다는 점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희소가치의 경험이 회사의 도움이 될만한 경험이라면 혹은 회사에서 해보고자 하지만 전문가의 부재로 시도조차 하지 못한 상황이라면 김칫국 100번 드링킹 하고 면접장에 가도 됩니다.
전체 글 10초 요약
포트폴리오를 요약하자면
QA? 테스터? 직군과 상관없이...
어떤 직군이던 상관없이
회사에서 작성한 JD(Job Description)을 잘 읽어보고 먼저 경력기술서를 잘 작성해야 합니다.
경력 기술서에는 경력 혹은 프로젝트의 나래비가 아닌 프로젝트의 기여한 점을 중점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프로젝트에 기여한 점을 보충 혹은 서류 심사관이나 면접관에게 궁금증을 유발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가 첨부되어야 합니다. 증명하거나 궁금증을 유발하거나의 컨셉을 명확히 해서 첨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PS : 서류 지원이나 면접을 준비하시는 모든 취준생분들을 응원합니다. 불합격의 소식이 들려와도 더 좋은 회사를 가기 위한 밑거름이라 생각하시고 다음을 준비하시는 여러분이 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약 : 포워딩 이직, 스타트업 이직, 경력직 이직, 경력 이직, 에듀윌 면접, 항해 99 취업, 에듀윌 대기업, 데이터 엔지니어 취업, 대기업 이직, 취업, 취준생
'RESUME CONSUL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전 비대면 면접 전략] 합격을 위한 준비물과 마지막 한마디 팁 공유 (0) | 2021.09.27 |
---|---|
[실전 취업/이직 준비] 경력 기술서 작성하는 방법 (0) | 2021.09.15 |
[실전 이력서 작성 전략] '미래에셋자산운용' 서류 지원 결과와 이력서 작성 예시 (0) | 2021.09.09 |
[실전 이력서 작성 전략] '하나금융티아이' 서류 지원 결과와 이력서 작성 예시 (0) | 2021.08.16 |
[실전 이력서 작성 전략] '코오롱베니트' 서류 지원 결과와 이력서 작성 예시 (0) | 2021.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