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품생품사(品生品死)

소프트웨어 품질에 살고 품질에 죽는 그런 평범한 일상 블로그

반응형

SOFTWARE TESTING 6

[고민] 테스트를 잘 완료하기 위해 꼭! 준비해야 하는 것들!!

오프닝: QA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오해와 진실 풀어보기테스트를 다시 한번 정의하면 '테스트 활동은 결함을 발견하기 위한 활동'입니다. 품질 보증이라는 우리의 포지션 명인 QA는 다양한 테스트 활동을 통해 품질을 보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상품의 출시나 서비스의 오픈을 판단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공해야 하는 것이 QA라는 포지션의 사람들이 해야 하는 숙명이라 생각합니다. 😂(숙명까지는 아니더라도??) 누군가는 QA가 출시의 판단 여부를 결정해도 되지 않느냐 물어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회사에는 제품과 서비스를 책임지는 포지션은 회사마다 조금은 차이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명확히 R&R(Role and Responsibilities)에 명시되어 있을 겁니다. 프로덕트 단위에는 PM(..

[준비] 프로젝트 종료까지 관리되는 테스트 계획서 작성하는 방법 공유!!

오프닝: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QA의 자세는?테스트 계획서는 SI에서는 필수 산출물로 꼭 작성되어야 하는 문서입니다. 그리고 또 포함되는 문서가 품질 관리 계획서입니다. 이번 섹션에서는 품질 관리 계획서가 아닌 테스트 계획서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품질 관리 계획서에는 기획/개발/테스트/배포/운영 유지보수에 대해서 품질을 어떻게 관리할지에 대한 내용이 있어야 하며, 테스트 계획서는 품질 관리의 일부 '테스트' 목적과 목표. 그리고 어떻게 테스트하고 테스트 관련 정보를 담은 문서라고 생각해 주시면 쉽게 이해 되실 거로 생각합니다. 프로젝트의 시작은 '킥오프'라는 활동으로 시작됩니다. 킥오프는 아시다시피 축구에서 공을 차는 것으로 경기를 시작한다는 의미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킥..

[오해와 진실] 테스트 분석과 설계, 나는 잘 하고 있을까? 혹은 이렇게 하는 게 맞나?

오프닝: 테스트를 분석한다고? 무엇을 설계한다는 거야?😉 잡썰제가 가장 잘하는 영역인 테스트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블로글 외에도 전자책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물론 블로그에 모두 담지 못하는 내용들로 가득 채워서 작성하고 있습니다.🤣 2024년부터 조금씩 준비하고 있었는데 올해는 어떻게든 완성을 해보려 합니다.🤔 본론의 시작처음 시작은 가볍게 테스트에 대한 분석과 설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테스트를 분석하고 설계 한다는 것은 앞으로 우리가 어떤 테스트 방법을 통해 어떻게 이슈를 발견할지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대부분의 QA나 테스트 엔지니어는 이 부분을 생략하고, 기획서나 화면 설계서, 스토리보드, 최근에는 피그마 문서 작성이 완료된 시점에 바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

[테스팅] QA, 테스트 엔지니어와 개발자 하는 테스트는 왜 다른가?

개발자는 분명 테스트 했는데 QA가 테스트하면 로그인부터 안 되는 이유?[상황]아래 상황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개발이 완료되고, QA 단계에서 테스트하게 된 상황입니다.QA 담당자 : 빌드 주세요.개발자 : 1.0.0 빌드 올렸습니다. 테스트 부탁드립니다.QA 담당자 : 1.0.0 설치했는데 앱이 실행이 안 되네요? 재빌드 부탁드립니다.개발자 : 빌드 옵션이 잘못돼서 재빌드했습니다. 1.0.1로 설치해서 재확인 부탁드립니다.QA 담당자 : 설치는 되었는데 로그인이 안 됩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한 번쯤은 경험해 보았을 상황이라 생각합니다. [중략]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요? 이유는 매우 간단합니다. 테스트 방법이 다르기 때문인데요. 간혹 정말 생각지 못한 범위에서 결함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에는 ..

[테스팅] 테스트 자동화를 시작하려는 QA, 테스트 엔지니어들이 꼭 준비해야 하는 이것!!

테스트 자동화를 처음 구축 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2024년 현재 QA 및 테스트 업계에는 테스트 자동화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 같습니다. 예전부터 관심이 많았지만 많은 기업의 수요도 많아지는 것이 느껴지기도 하고 질문도 많고 궁금한 것이 많은 시기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조금이나마 테스트 자동화를 준비하는 QA 혹은 엔지니어분들을 위해 흩어져 있는 정보들을 조금씩 모아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결론 부터 말씀드리면 테스트 자동화는 쉽지 않습니다. 개발 지식? 프로그래밍이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습득 가능하고 노력하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어렵다고 하는 부분은 끝없는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작은 변화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어렵다고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테스트 자동화에 성공하기 위해서 ..

[실무 활용] 간단하지만 꼭!! 필요한 정보로 타 부서로부터 테스트 요청서 받는 방법!!

너무 많은 내용은 피로감이 늘어날 뿐이다테스트 요청서는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꼭 필요한 문서입니다. 테스트 요청서는 테스트에 필요한 정보를 모아놓은 문서이며, 테스트의 범위를 결정하기도 하는 중요한 문서입니다. 또한, 테스트가 완료되었을 때 필요한 정보를 통해 이후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테스트에 꼭 필요한 테스트 요청서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려 합니다. 그리고 테스트 요청서에 필요한 정보를 Confluence에서 JIRA 데이터를 어떻게 가져오는지도 간략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Confluence에 테스트 요청 양식 만들기 No.구분옵션 여부상세 설명1프로젝트명필프로젝트의 이름을 작성.2담당 개발 부서필담당 개발 부서명을 작성3담당 개발 파트옵담당 개발 파트를 작성4담당 개발장옵..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