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품생품사(品生品死)

소프트웨어 품질에 살고 품질에 죽는 그런 평범한 일상 블로그

반응형

품질 관리 7

[프로세스] 사례 기반 - 도구만 잘 활용해도 프로세스 관리자가 될 수 있다!!(ft.지라)

Jira는 프로세스 관리 및 커뮤니케이션 도구이다.Jira 시스템 관리자로 업무를 수행한지 벌써 10여년이 되어갑니다.그동안 개인적으로 Jira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고민도 많이하고 구현도 많이 했는데요. 이번 크몽에서 테스트 프로세스, 나아가 품질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해 시작한 여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해당 블로그는 회사에서 운영중인 블로그에 작성하였으며, 이력을 남기기 위해 큐레이션 합니다.  크몽에서 만들어가는 Jira를 활용한 프로세스 구축은 저에게 또 하나의 도전이 될 것 같습니다. [2022년] OO의 Jira 사용기 : 극대화 편Jira 사용성 개선 계획기존에도 Jira를 잘 사용하고 있었지만 좀 더 잘 사용해보고자 하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간단하게 Task를 정리하여 계획을..

[지라 기본 가이드 - Chap.2] Jira를 시작하기 위한 기본 개념 알아보기!!(ft.Confluence)

Jira 개념 알기(3분 컷)Jira대한 기본 개념은 아래와 같습니다.JIRA 사용의 시작은 이슈 생성 = 내가 할 일을 만드는 것JIRA는 ALM(Application Lifecycle Management) 도구(이슈 관리 도구 X)앞으로 계속 연재하다보면 나올 개념을 잠깐 언급하면 ✨ 할 일은 곧 Jira에서 Backlog(백로그)라는 용어로 사용하게 된다. 사실 Backlog는 할 일로 단순한 의미는 아니지만 아직 처음 시작하는 우리에게는 어려운 의미를 깊게 알 필요없습니다. 앞으로 자연스럽게 알게 될 것입니다. Jira에서 이슈를 해결해 나가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이슈를 해결한다고 하면 대부분 소스코드를 작성하거나 수정해서 해결해 나간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Jira 시스템에 대한..

[지라 기본 가이드 - Chap.1] Jira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기!!(ft.Confluence)

Overview지라(JIRA)라는 이름의 유래는 고지라라는 일본식 이름에서 따왔다고 합니다.아틀리시안에 따르면, 190개의 국가에 150,000명의 고객이 지라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Jira는 190 개국 180,000명 이상의 고객이 이슈 추적 및 프로젝트 관리에 사용하고 있으며, 버그 추적 및 프로젝트 관리를 위해 특정 시점에 Jira를 사용한 조직 중에는 Fedora Commons, Hibernate 및 Jira와 Bugzilla를 모두 사용하는 Apache Software Foundation이 있습니다.Jira에는 경쟁 업체 Bugzilla에서 마이그레이션 할 수 있는 도구가 포함되어 있고, Jira는 4 가지 패키지로 제공됩니다.- Jira Work Management는 일반적인 프로젝트 관리..

[실무 - Chap.4] 지라(JIRA)의 관리자가 쉽게 프로세스 구축하는 방법!!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워크플로우 세팅하기지난 글까지 이슈가 무엇인지 알아보았고, 작업 흐름(Workflow)을 왜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작업 흐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다양한 작업의 흐름을 통합(카테고리화)하는 것이라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럼 다양한 작업의 흐름을 카테고리화가 되었다는 가정하에 아래의 스텝을 따라 해 보시기 바랍니다. 작업 흐름을 만들고, 커스텀 페이지를 만들어서 작업 흐름에 따라 트리거(팝업)가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트리거(팝업)의 활용이 왜 필요한지도 꼭 알아야 합니다. JIRA 데이터를 통해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데이터 정제를 위해서 꼭 필요한 작업이기도 합니다. JIRA를 국문으로 설정했을 때는 업무 흐름으로 표시되고 있기 ..

[실무 - Chap.3] 지라(JIRA) 프로세스 간단하지 않지만 복잡하지 않게 구축하는 방법!!

Jira의 워크플로우 = 프로세스지난 글까지는 이슈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시 요약하자면 JIRA에서 "이슈 = 해야 할 일"이고, JIRA에서 "프로젝트 = 이슈의 모음"이라는 점만 잘 기억해 주시면 아래의 내용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전 글을 읽어 보지 않으시고, 아래의 개념을 이해하려고 하시면 좀 어려울 수 있는 부분입니다. "난 JIRA의 이슈와 프로젝트에 대해서 조금은 알아" 하시는 분들은 자연스럽게 아래 글을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실무 - Chap.2] 지라(JIRA)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법 공유!!시스템 활용을 위한 최소한의 공통 기능 정의이전 글에서는 JIRA를 도입하기 전에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의 글은 JIR..

[실무 - Chap.2] 지라(JIRA)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활용을 위한 최소한의 공통 기능 정의이전 글에서는 JIRA를 도입하기 전에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의 글은 JIRA의 기능 설명이 아닌 정말 프로젝트를 만들고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수많은 프로젝트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을 말씀드리려 합니다. 현재 글을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꼭 이전 글을 읽어 보시고 이 글을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실무 - Chap.1] 지라(JIRA)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 공유!!Jira를 추천하는 이유?IT에서 일하고 있다면 Jira에 대해서 한 번쯤 들어 보셨을 겁니다. 개발자던 QA이던 구인 공고 단골 Job Description이기도 합니다. 보통 기업 혹은 개인이..

[실무 - Chap.1] 지라(JIRA)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

Jira를 추천하는 이유?IT에서 일하고 있다면 Jira에 대해서 한 번쯤 들어 보셨을 겁니다. 개발자던 QA이던 구인 공고 단골 Job Description이기도 합니다. 보통 기업 혹은 개인이 JIRA를 사용한다고 하면 BTS(Bug Tracking System)로 많이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JIRA Software는 단편적으로 BTS로만 사용하기에는 너무도 아까운 시스템이기 때문에 버그 트래킹뿐만이 아니라 실제로 실무에서 확장성 있게 어떻게 적용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말씀드리고, 어느 부분부터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인지에 대해서 말씀드리려 합니다. 😅 아래 글은 필자가 경험한 10여 년 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정답은 아닙니다.조금이라도 아래와 같이 적용을 생각해 보셨거나 하고..

728x90
반응형